학생건강체력평가 제도인 팝스 PAPS! 학생들의 종합적인 건강 체력을 평가하기 때문에측정을 하는 항목도 유산소와 근력 등 신체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종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심폐지구력 기준은 얼마일까?심폐지구력 항목에는 2가지 주요 종목이 있습니다.왕복오래달리기와 올래달리기걷기인데요!왕복오래달리기는 심장과 폐의 기능이 잘 발달해서 지치지 않고 오랫동안 운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합니다. 초등학생은 15m, 중/고등학생은 20m길이의 운동장 또는 체육관에서 진행합니다. 신호음이 들리면 맞은편 지점에 도착하여야하고, 이 과정을 자신의 능력 범위 내에서 반복하면 되죠! 다음 종목은 오래 달리기 걷기 입니다.초등학생은 1000m, 여자 중/고등학생은 1200m, 남자 중/고등학생은 1600m의 코스를 달립니다. 측정 코스를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하며 정해진 거리를 뛰거나 걸어서 완주 하면 됩니다. 근력과 근지구력의 기준은?근력 측정 항목에는 팔굽혀펴기와 윗몸말아올리기 그리고 악력 테스트가 있습니다. 근력은 한 번에 큰 힘을 낼 수 있는 정도를 말하고, 근지구력은 일정한 힘을 오래 반복해 낼 수 있는 정도를 말하죠.팔굽혀펴기는 높이 30cm, 넓이 110cm 이상 되는 푸쉬업바를 놓고 실시합니다. 양 발은 모으고, 팔은 어깨 너비 정도로 간격을 두고 실시합니다. 몸은 일직선을 유지하며, 가슴과 봉 사이의 거리가 10cm이사가 될때까지 팔을 굽힌 후 다시 팔을 곧게 핀 상태로 돌아옵니다. 더 이상 반복하지 못 할 때까지 실시하여 횟수를 기록합니다.여성의 경우 무릎대고 팔굽혀펴기를 실시합니다. 봉 대신 손을 대고 실시하며, 가슴과 지면 사이 거리가 15cm 이하가 되면 됩니다. 윗몸 말아올리기는 매트에 머리와 등을 대고 누운 후 발바닥은 바닥에 붙인 채 무릎을 90도 각도로 굽혀 세워줍니다. 팔은 곧게 뻗고 손바닥이 무릎은 감싸도록 상체를 말아올립니다. 3초마다 울리는 신호음에 해당 동작을 반복합니다. 계수는 1회/3초 실시 간격을 1회 지키지 못할 경우에는 카운트하지 않되 측정은 계속됩니다. 하지만 1회/3초 간격을 두번째 지키지 못하면 측정이 종료된다고 하네요! 복근뿐만 아니라 상하체 전반의 힘을 필요로하죠. 다음은 악력 측정입니다. 운동 능력뿐만 아니라 일상의 많은 것들이 손으로 이루어 지기 때문에 손으로 쥐는 힘인 악력은 아주 중요한 지표중에 하나입니다. 악력은 네 개의 손가락과 엄지 손가락의 협응성으로 손으로 물건을 쥐는 힘을 측정하여 근력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측정하는 방법은 발을 바닥에 평평하게 되도록 붙이고 양 다리는 약간 벌려서 직립 자세를 취합니다. 이후 악력측정기를 자신의 손에 맞도록 폭을 조절 한 후, 오른쪽과 왼쪽을 교대로 각각 2회씩 실시합니다.주의할 점은, 측정기가 몸에 닿지 않아야 하며, 팔을 굽히지 않아야 하며, 잡는 방법이 기록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작동 및 파지법을 숙지해야합니다. 유연성 기준을 살펴보자!우리 몸의 관절이 앞뒤 좌우로 잘 굽혀지는 정도를 측정하는 유연성 측정. 유연성이 좋으면 운동능력이 향상되고,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관절염과 같은 질환의 발생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아주 중요하겠죠!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는 양 발을 곧게 뻗어서 앉습니다. 측정대에 발바닥을 붙이고 양 손을 뻗어서 최대한 상체와 손을 앞으로 굽혀줍니다. 종합 유연성은 여러 신체 부위의 가동범위를 측정합니다. 어깨 유연성, 상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가를 보는 몸통 유연성, 척추의 유연성을 알 수 있는 옆구리, 하체 등 신체의 여러 부위를 체크하게 됩니다. 순발력 항목의 기준은 어떨까?짧은 시간에 순간적으로 힘을 내는 능력을 말합니다. 순발력이 좋으면 몸을 재빠르게 움직일 수 있어 빨리 달리고 멀리 뛰는데 도움이 됩니다.그 중, 50m달리기는 전신의 순발력을 알아보기 위한 종목입니다. 직선주로가 가능한 운동장에서 실시하며, 스탠딩스타트 자세로 준비했다가 신호와 동시에 출발합니다. 갑자기 팍 달리면 몸에 무리가 가거나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사전에 준비운동을 해주어 몸을 데워야 합니다! 제자리멀리뛰기도 전신의 순간 폭발력을 측정하기 위한 항목입니다. 마지막으로,신체 조성 항목의 기준!키와 몸무게를 측정하여 계산이 가능한 체질량 지수, BMI의 계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BMI=체중(kg)\div (키(m)\times 키(m))$BMI=체중(kg)÷(키(m)×키(m)) 이렇게 자세하게 항목별 기준들을 살펴봤습니다.학교마다 실시하는 시점이 달라서 보통은 3~5월 사이에 실시된다고 하니, 미리 알아보고 준비해서 건강한 컨디션을 준비하면 좋겠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 참여 때문이 아니라, 건강한 몸에는 건강한 정신이 깃들기도 하고, 또 성적이나 생활 자체의 건강을 위해서도 중요하니 신체 체력과 건강 잘 챙겨보시기 바라겠습니다. 각 항목별 꿀팁들도 한 번 찾아서 공유드려보겠습니다!